▷ 지역사회복지와 기능수준과의 관계
개인 및 가족 등 미시적 수준의 활동을 보완하는 위치
▷ 로스만(J. Rothman)의 지역사회개발
- 변화 매개체로서 과업지향의 소집단 활용
- 권력구조에 있는 구성원을 협력자로 인식
- 기본 변화전략은 자신의 문제결정 및 해결에 대수의 사람이 참여하는 것
- 변화전술로 합의를 사용
▷ 지역사회(Community)
모든 지역사회는 사회(Society)이지만, 모든 사회가 지역사회에 해당하지 않음
▷ 지역사회보장협의체
- 기능 : 지역사회복지자원을 개발 및 발굴
- 실무협의체 : 실무분과에서 발의된 쟁점에 대해 논의
▷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 관련 용어
- 계획/프로그램
- 연계
- 임파워먼트
- 자원개발/동원
- 옹호기술
▷ 지역사회복지실천 9단계 과정
변화기회 확인 → 변화기회 분석 → 목적 및 목표설정 → 변화노력 설계 및 구조화 → 자원계획 → 변화노력 실행 → 변화노력 점검 → 변화노력 평가 → 재사정 및 변화노력 안정화
▷ 명목집단기법
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, 목표 확인 및 행동계획의 개발에 활용되는 기법
▷ 존스와 디마치(Johns & Demarche)의 지역사회복지 실천원칙
문제해결 접근방법에 있어서 다양성의 존중 및 접근 방법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서 지역사회의 욕구를 강조
▷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추구하는 가치
- 문화적 다양성 존중
- 배분적 사회정의
- 임파워먼트
- 비판의식의 지양
- 상호학습
▷ 사회복지사의 사회치료사로서의 역할 (Ross)
지역사회 공동의 관심사를 저해하는 금기적 사고나 전통적인 태도데 대해 지역사회 수준에서 진단하고 치료하여 이를 제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
▷ 사회복지공동모금회
- 설립 근거법 :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
- 조직 : 중앙과 지방의 독립법인형식에서 시/도별 지회형식으로 변경
- 배분사업 : 신청사업, 기획사업, 긴급지원사업, 지정기탁사업
▷ 근린지역사회조직
- 웨일과 갬블(Weil & Gamble)이 제시
- 사회적/경제적 환경의 변화를 위한 구성원의 능력개발이 목표
- 사회복지사의 주된 역할은 조직가, 교사, 촉진자
▷ 인보관 운동
- 사회구조의 변화에 관심
- 여성 노동자의 권익증진 운동 전개
- 빈민들과 함께 거주하며 사회문제 해결에 노력
- 주민의 잠재력 향상을 위해 교육 강조
▷ 오가통
조선시대의 지방자치제도로서 정부에 의해 어느 정도 강제성을 지니며, 교화를 향상하여 지방행정의 운영을 돕도록 함
▷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의 기본원칙
- 참여의 원칙
- 지역성의 원칙
- 실천성의 원칙
- 연속성/일관성의 원칙
- 과학성/객관성의 원칙
▷ 계획모델
조사연구, 과학적 분석 등 기술적 능력에 큰 비중을 두는 방식
▷ 갈등이론
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갈등 현상에 주목하며, 갈등을 사회발전의 요인과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다루는 이론
▷ 사회보장기본법
2012년 1월 26일 전부개정, 2013년 1월 27일 시행
▷ 지역사회복지실천단계 중 '총괄평가' 단계
프로그램 운영이 끝날 때 행해지는 평가로서, 해당 프로그램이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의 성취도를 평가
▷ 지역사회복지 주요이론
자원동원이론, 사회교환이론, 갈등이론, 사회체계이론, 생태학이론
▷ 네트워킹(Networking)
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사회복지 조직들과 같은 관련 사회행위자들 간의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
▷ 사회복지사의 역할분류
- 미시차원(개인, 가족) : 조력자, 중개자, 옹호자, 교사
- 중범위차원(조직, 공식적 집단) : 촉진자, 중재자, 훈련가
- 거시차원(지역사회, 사회) : 계획가, 행동가, 현장매입가
- 전문가집단차원(사회복지전문가 집단) : 동료, 촉매자, 연구자/학자
'ETC > 사회복지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복지사 1급 키워드 - 7. 사회복지행정론(2015년) (0) | 2016.01.22 |
---|---|
사회복지사 1급 키워드 - 6. 사회복지정책론(2015년) (0) | 2016.01.22 |
사회복지사 1급 키워드 - 4. 사회복지실천기술론(2015년) (0) | 2016.01.19 |
사회복지사 1급 키워드 - 3. 사회복지실천론(2015년) (0) | 2016.01.19 |
사회복지사 1급 키워드 - 2. 사회복지조사론(2015년) (0) | 2016.01.18 |